분류 전체보기
![[오버라이딩] 삼각형 넓이 단위 변환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tUqRK%2FbtrAIOJJCP4%2FAAAAAAAAAAAAAAAAAAAAANLY3RXo10_5169AvZ5r_uk9-v9NX1PTa3-PCmbl0VZB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COPEStjW2FrsVUda7bJG61EKzn4%253D)
[오버라이딩] 삼각형 넓이 단위 변환
🔍 문제 삼격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클래스를 만들고 이를 상속하는 클래스에서 getArea()를 오버라이딩하여 출력 단위 ' ㎠ ' 를 추가 🗝 사용함수 🖥 실행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class TriangleArea: def __init__(self, w, h): self.width = w self.height = h def printTriangleInfo(self): print(f'self.width: {self.width}') print(f'self.height: {self.height}') def getArea(self): return self.width * self.height /2 class NewTria..
![[파이썬 기초] 오버라이딩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FbGvK%2FbtrAHjcnv1T%2FAAAAAAAAAAAAAAAAAAAAAF2uOdhJamUNxitU6-lNKWd8We_gmCW8c2sIpMxd7TTf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aGEJHO910hVfZ8cbgLME1ljMouo%253D)
[파이썬 기초] 오버라이딩
1. 오버라이딩 - 하위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의 메소드 재정의(override) class Robot: (생략) def fire(self): print('화염 공격!') class NewRobot(Robot): (생략) def fire(self): print('미사일 공격!') → 오버라이딩 [오버라이딩] 삼각형 넓이 단위 변환 🔍 문제 삼격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클래스를 만들고 이를 상속하는 클래스에서 getArea()를 오버라이딩하여 출력 단위 ' ㎠ ' 를 추가 🗝 사용함수 🖥 실행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designingdata.tistory.com 2. 내장함수와 사용자 함수 1) 내장 함수 : 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함수 ex)..
![[클래스 상속] 중간, 기말 성적표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mc67f%2FbtrAIgfn1kD%2FAAAAAAAAAAAAAAAAAAAAABN-2cLbvdH-GOmI-ESh1ehFTqRkbLKRrtrUv02SH4an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twuPEavZDcNSOdLQJYybIzt72n4%253D)
[클래스 상속] 중간, 기말 성적표
🔍 문제 중간고사 클래스(MidExam)를 상속하는 기말고사 클래스(EndExam)을 만들고, 점수와 총점, 평균 출력 🗝 사용함수 super() : 상위 클래스의 __init__ 메소드 호출 round(x,2) : x값을 소수점 2째 자리까지 출력 🖥 실행 class MidExam: def __init__(self, s1, s2, s3): print('[MidExam] __init__()') self.mid_kor_score = s1 self.mid_eng_score = s2 self.mid_mat_score = s3 def printScores(self): print(f'mid_kor_score: {self.mid_kor_score}') print(f'mid_eng_score: {self.mid_en..
![[파이썬 기초] 클래스 상속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cigY2X%2FbtrADN6vHIt%2FAAAAAAAAAAAAAAAAAAAAANz5027K5IsSKqFMJPVKHEjLJJAtdFKc4497_cGaHJVD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iYi2qmNP9jPezAfipnzNT9r6qlo%253D)
[파이썬 기초] 클래스 상속
🔍 클래스 상속 - 클래스는 또 다른 클래스를 상속해서 내 것처럼 사용 가능 Class NormalCar: Class TurboCar(NormalCar): → NormalCar 상속 1. 생성자 - 객체가 생성될 때 생성자를 호출하면 __init__() 메소드를 자동 호출 - __init__()는 속성을 초기화한다. Class Calculator: def __init__(self, n1, n2): → __init__ 메소드 호출 self.num1 = n1 → 객체의 속성값을 매개변수 10, self.num2 = n2 20 으로 초기화 cal = Calculator(10, 20) → Calculator() 생성자 호출 후, 레퍼런스 변수에 넣어준다. Class Calculator: def __init__..
![[파이썬 기초] 객체지향 프로그래밍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DRUmR%2FbtrAIhelwT7%2FAAAAAAAAAAAAAAAAAAAAANLCIdYiCxXPQ7ikvSRXtR5LK0M29NCpUN0mJei-4-qT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AAvkYEJyRyOCEmLBjFr6JRDmikE%253D)
[파이썬 기초] 객체지향 프로그래밍
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1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 객체를 이용한 프로그램으로 객체는 속성(attribute)과 기능(function)으로 구성 - 코드 재사용, 모듈화에 좋다. - 결합도가 낮을 수록 유지보수가 쉽다(이상적) 2. 클래스(Class) - 객체를 만드는 틀(aka. 붕어빵 틀) -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정의 - 클래스는 하나지만, 객체는 여러개 생성 가능 3. 객체(Object) - 클래스의 인스턴스(실제로 메모리상에 할당된 것) - 자신 고유의 속성(attribute)을 가지며 클래스에서 정의한 행위(behavior)를 수행. - 인스턴스와 객체는 동일 4. 메서드(Method) -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객체에 명령 1. 클래스와 객체 생성 1) 클래스 : 클래..
![[파이썬 기초] 패키지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5ddv%2FbtrAz8cnFYR%2FAAAAAAAAAAAAAAAAAAAAALHwZnu215h18s3IpuCpbww5uZGhYBmPfMLsloTGQLqN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4D0BL%252FTgTS7DdhzcaFgQkKHXHxk%253D)
[파이썬 기초] 패키지
🔍 패키지 사용 이유 - 모듈이 많아지면, 관련 모듈을 모아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시) from calculatorForInt import addcal as ac 예시) itertools 패키지 사용 [모듈] 순열 생성 🔍 문제 순열을 생성하는 모듈을 만들어 값을 구한다. 🗝 사용함수 nPr : n!/(n-r)!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. : itertools 패키지에 저장된 permutations(순열) 모듈 사용 permutations([a], b) :.. designingdata.tistory.com 예시) 사용자 패키지 사용 [모듈] 사칙연산, 도형의 넓이 계산기 🔍 문제 패키지를 만들고, 숫자를 입력 받아 계산하는 계산기를 만들기 패키지 1) : 모듈1..
![[파이썬 기초] 모듈이란?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yGXpU%2FbtrADSNFgoY%2FAAAAAAAAAAAAAAAAAAAAABadNfeHa8OjOKDYFhYotMfKPvSN-ef8FT2vwbUUpd09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a5Nf8nx1hfRBfAGbv21x7wfsETk%253D)
[파이썬 기초] 모듈이란?
🔍 모듈이란? - 특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파이썬 파일 - 이미 만들어진 훌륭한 기능들을 마음껏 사용할 수 있다. (계산모듈, 난수모듈, 날짜/시간 모듈 등) - 내부모듈(파이썬 설치 시 내장) ex) math, random 등 - 외부모듈(별도 설치 필요) ex) pandas 등 - 사용자 모듈(사용자가 만든 모듈) [모듈] 성적 패스 확인 🔍 문제 커트라인 점수를 기준으로 pass / faill 판별 평균 커트라인 : 60점 과목 커트라인 : 40점 🗝 사용함수 - 🖥 실행 1) 모듈 생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.. designingdata.tistory.com 🗝 모듈 사용 1) import : 모듈..
![[파이썬 기초] 함수란?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ATD4z%2FbtrAzbtFH0V%2FAAAAAAAAAAAAAAAAAAAAAPPunUjV11rcpi4Tb9wVoLfgl9hmMC9awhDrh6bJ08Vk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619227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HXXFuIbdazIQTQNtU167L750%252FE4%253D)
[파이썬 기초] 함수란?
🔍 함수 사용 이유 - 특정 기능을 재사용하기 위해서 사용 🗝 내장함수와 사용자 함수 1) 내장 함수 : 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함수 ex) print, input 2) 사용자 함수 : 사용자가 직접 선언하는 함수 (1) 선언 : def addFun(x,y): return x + y (2) 호출 : addFun() tip) 함수명은 기능으로 작명 tip) 함수 내에서 또 다른 함수 호출 가능 tip) pass로 실행문 생략 가능 tip) return 키를 이용하여 함수 호출부로 실행 결과 반환(단,return을 만나면 함수 종료) [함수] 계산기 만들기 🔍 문제 원하는 기능을 고르고 수를 입력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계산기 🗝 사용함수 🖥 실행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