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da
Deda의 데이터 디자인
deda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21)
    • Python (27)
      • Python 기초 (17)
      • Python 데이터분석 (10)
    • SQL (9)
    • Coding test (54)
      • Python 기초문제 (45)
      • LeetCode (9)
    • BigData (2)
    • ZeroBase (3)
    • UX (0)
    • Business Review (1)
    • 통계 & 수학 (17)
      • 통계학 (14)
      • 수학 (3)
    • 스터디 (6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matplotlib
  • 계차수열
  • 부트캠프
  • SQL
  • 데이터사이언티스트
  • 모듈
  • 최소공배수
  • 빅데이터
  • 군수열
  • 마이데이터
  • 함수
  • 계산기
  • 등비수열
  • 프로그래밍
  • 미니콘다
  • 팩토리얼
  • 통계
  • 릿코드
  • 제로베이스
  • 데이터분석가
  • 기초수학
  • 데이터엔지니어
  • BMI
  • 네카라쿠배
  • 소인수분해
  • 코딩
  • 파이썬
  • 데이터분석
  • pandas
  • 등차수열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deda

Deda의 데이터 디자인

[파이썬 기초] 튜플(Tuple)
Python/Python 기초

[파이썬 기초] 튜플(Tuple)

2022. 5. 3. 23:14

🔍  튜플(Tuple)

- 리스트([])와 비슷하지만, 한번 선언이 되면 아이템 변경 불가(수정, 삭제 등)

- ()을 사용해서 선언하지만 생략이 가능하다.

- 튜플 안에 또 다른 자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. 

myNum1 = (1,3,6,8,9)
myNum2 = 4,6,2,7,8

 

🗝 tuple의 아이템 조회

- 인덱스를 이용하여 조회 가능

students = ('홍길동', '박찬호', '이용규', '박승철')

students[2]           →   '이용규'

 

 

🗝 in, not in 키워드

- 아이템의 존재 유/무 확인(True/False)

- 문자열에서도 사용 가능

예시) if '강호동' in students:     →     False

import random

userNum = int(input('원하는 숫자 입력:'))
comNum = random.sample(range(1,10), 5)

if userNum in comNum:
    print('빙고')
else:
    print('다음기회')

print(comNum)

 

 

🗝 len()함수

- 튜플에 저장된 아이템 개수

- len()과 반복문을 이용하면 아이템 조회가 가능하다.

students = ('홍길동', '박찬호', '이용규', '박승철')
for i in range(len(students)):
    print(i, students[i])

 

🗝 tuple 결합 (+)

- 새로운 튜플을 만듦. A + B = C(새로운 튜플)

tip) 튜플에서는 extend() 함수를 사용할 수 없음

myNum = (1,3,6,8,9)
frNum = (4,6,2,7,8)

for i in frNum:
    if i not in myNum:
        myNum = myNum + (i, )

print(myNum)         →      (1, 3, 6, 8, 9, 4, 2, 7)

 

🗝 tuple 슬라이싱 [n:m]

- 원하는 아이템만 뽑아낸다.

tip) 튜플에서는 슬라이싱을 이용해서 아이템을 변경할 수 없다.

 

🗝 list 와 tuple 변환

- list와 튜플은 자료형 변환이 가능하다.

myNum = [1,3,6,8,9]

myNum = tuple(myNum)
print(type(myNum))

myNum = list(myNum)
print(type(myNum))

 

🗝 tuple 정렬

- 수정이 불가하기 때문에, list로 변환한 뒤 sort() 함수 사용

- sorted()는 정렬 후 리스트 자료형 반환

students = ('홍길동', '박찬호', '이용규', '박승철')

sortStd = sorted(students)      →     ['박승철', '박찬호', '이용규', '홍길동']

 

🗝 tuple과 for 문

- for 문을 이용하면 튜플의 아이템 조회 가능

- len() 함수와 인덱스를 사용하거나, 범위를 튜플로 지정

- 내부 튜플 조회 가능

studentCnt = ((1, 19), (2, 20), (3, 24), (4, 31), (5, 22))
for clNo, std in studentCnt:
    print('{}반 : {}명'.format(clNo,std))

     

🗝 tuple과 while문

- for이 사용빈도가 더 높으나 사용할 수 있다.

studentCnts = (1, 18), (2,19), (3,23), (4,21), (5, 20), (6,22), (7,17)

minClNo = 0; maxClNo = 0
minCnt = 0; maxCnt = 0

n = 0
while n < len(studentCnts):
    if minCnt == 0 or studentCnts[n][1] < minCnt:
        minCnt = studentCnts[n][1]
        minClNo = studentCnts[n][0]

    if maxCnt == 0 or studentCnts[n][1] > maxCnt:
        maxCnt = studentCnts[n][1]
        maxClNo = studentCnts[n][0]

    n += 1

print('가장 인원 수가 작은 반 : {}반({}명)'.format(minClNo,minCnt))
print('가장 인원 수가 많은 반 : {}반({}명)'.format(maxClNo,maxCnt))

 

'Python > Python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파이썬 기초] 알고리즘 - 검색,순위  (0) 2022.05.06
[파이썬 기초] 딕셔너리(Dictionary)  (0) 2022.05.04
[파이썬 기초] 리스트(list)  (0) 2022.05.02
[파이썬 기초] return과 print의 차이  (0) 2022.04.30
[파이썬 기초] 추상클래스, 예외  (0) 2022.04.28
    'Python/Python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파이썬 기초] 알고리즘 - 검색,순위
    • [파이썬 기초] 딕셔너리(Dictionary)
    • [파이썬 기초] 리스트(list)
    • [파이썬 기초] return과 print의 차이
    deda
    deda
    데이터 분석 / 파이썬 / UX / 정량리서치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