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da
Deda의 데이터 디자인
deda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21)
    • Python (27)
      • Python 기초 (17)
      • Python 데이터분석 (10)
    • SQL (9)
    • Coding test (54)
      • Python 기초문제 (45)
      • LeetCode (9)
    • BigData (2)
    • ZeroBase (3)
    • UX (0)
    • Business Review (1)
    • 통계 & 수학 (17)
      • 통계학 (14)
      • 수학 (3)
    • 스터디 (6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파이썬
  • 등비수열
  • 통계
  • 함수
  • 최소공배수
  • 미니콘다
  • 군수열
  • pandas
  • 등차수열
  • 기초수학
  • matplotlib
  • 데이터분석
  • 제로베이스
  • 릿코드
  • 마이데이터
  • 계차수열
  • 모듈
  • 코딩
  • BMI
  • 빅데이터
  • 데이터사이언티스트
  • 데이터엔지니어
  • SQL
  • 데이터분석가
  • 팩토리얼
  • 소인수분해
  • 계산기
  • 네카라쿠배
  • 부트캠프
  • 프로그래밍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deda

Deda의 데이터 디자인

스터디

[스터디 후기] 4주차. 백준 문제 및 조별 과제 토의

2022. 7. 4. 11:21

1. 스터디 범위

1) 범위

기하 1 - 5문제

 

 

2. 스터디 내용

1) 1085. 직사각형에서 탈출

크게 어렵지 않았고, 풀이과정도 모두 비슷했다.

x, y, w, h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min(x, (w-x), y, (h-y)))

 

2) 3009. 네번째 점

x, y 중 각각 하나만 있는 걸 찾아서 해결할 수 있었다.

x_nums = []
y_nums = []

for _ in range(3):
    x, y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x_nums.append(x)
    y_nums.append(y)

for i in range(3):
    if x_nums.count(x_nums[i]) == 1:
        x_4 = x_nums[i]
        
    if y_nums.count(y_nums[i]) == 1:
        y_4 = y_nums[i]
        
print(x_4, y_4)

 

3) 4153. 직각삼각형

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.

while True:
    tri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    if tri[0] == 0:
        break
        
    tri.sort()
    if tri[2]**2 == tri[0]**2+tri[1]**2:
        print("right")
    else:
        print("wrong")

 

4) 2477. 참외밭

큰 사각형에서 작은 사각형을 빼주면 쉽게 구할 수 있는 문제이다. 원리는 쉬우나 작은 사각형을 도출해내는 과정이 까다로웠고, 조원들마다 각각 다른 접근방법으로 풀어 흥미로웠다.

c = int(input())
x_nums = []
y_nums = []
for _ in range(6):
    d, length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if d == 1 or d == 2:
        x_nums.append(length)
    else:
        y_nums.append(length)

small_x_idx = 0
small_y_idx = 0
large_x_idx = 0
large_x_idx = 0

for i, d in enumerate(x_nums):
    if d == max(x_nums):
        large_x_idx = i

for i, d in enumerate(y_nums):
    if d == max(y_nums):
        large_y_idx = i

if large_x_idx == large_y_idx:
        small_x_idx = large_x_idx - 2
        small_y_idx = large_y_idx - 1  
else:
    small_x_idx = large_x_idx - 1
    small_y_idx = large_y_idx - 2

width = (max(x_nums)*max(y_nums))-((x_nums[small_x_idx])*(y_nums[small_y_idx]))
print(width * c)

 

5) 3053. 택시 기하학

택시 기하학이라는 개념을 알고 있다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.

from math import pi
r = int(input())
print('%.6f' %((r ** 2) * pi))
print('%.6f' %((r ** 2) * 2))

택시 기하학)

 

[택시 기하학] 유클리드 기하학과 택시 기하학의 차이

지금까지 우리가 배운 것은 유클리드 기하학이다 우리가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중학교를 거쳐 고등학교까지 ...

blog.naver.com

 

'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스터디 후기] 6주차. 백준 문제 및 조별 과제 토의  (0) 2022.07.19
[스터디 후기] 5주차. 백준 문제 및 조별 과제 토의  (0) 2022.07.11
[스터디 후기] 3주차. 백준 문제 및 조별 과제 토의  (0) 2022.06.27
[스터디 후기] 1. 코딩테스트_1 & EDA 과제_2  (0) 2022.06.19
[스터디 후기] 0. 아이스 브레이킹  (0) 2022.06.12
    '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스터디 후기] 6주차. 백준 문제 및 조별 과제 토의
    • [스터디 후기] 5주차. 백준 문제 및 조별 과제 토의
    • [스터디 후기] 3주차. 백준 문제 및 조별 과제 토의
    • [스터디 후기] 1. 코딩테스트_1 & EDA 과제_2
    deda
    deda
    데이터 분석 / 파이썬 / UX / 정량리서치

    티스토리툴바